통일신라시대 대찰 법수사 발굴현장 일반인 공개

발굴현장 전경(성주군 제공)

▲ 발굴현장 전경(성주군 제공)

경북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일원에 통일신라시대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찰인 법수사가 그 위용을 드러냈다.


성주군은 27일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재)대한문화재연구원(원장 이영철)에 의뢰해 지금 발굴조사를 시행하고 법수사의 발굴현장을 일반인에게 공개했다.


법수사는 802년(신라 애장왕 3) 창건 당시 금당사(金塘寺)로 기록된 후, 고려 시대 중건해 법수사라 했다. 이번 조사는 보물 제1656호로 지정된 삼층석탑 주변(5,691㎡)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조사 결과 통일신라시대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문화층이 확인됨으로써 문헌에 기록된 초기 창건 관련 내용과 일치됨이 확인됐다. 


이번 발굴조사에서 드러난 건물지는 대부분 고려 시대에 축조돼 조선시대까지 유지된 것으로 확인다. 2호 건물지의 경우 3번 이상의 개축이 이뤄졌으며, 1호 건물지 또한 유사한 성격을 띤다. 중심구역에는 최소 6개 동의 건물지와 기타 시설물이 확인됐다.     


건물의 배치는 중심구역 전면에 1호 건물지가 조성돼 있고, 중심으로 좌·우에 금당지로 추정되는 건물지와 부속건물지가 어우러진 사역의 경관이 확인됐다.


1호 건물지는 동-서 방향으로 계단시설과 보도시설을 갖춰 2호·3호·5호 건물지로 이어진 동선을 갖췄다. 이는 고려 후기의 가람배치를 보여주고 있어 가람배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금당지로 추정되는 2호·3호 건물지는 바닥에 전(塼)을 깔고 내부에 불단을 갖춘 구조로 불단은 세장방형(직사각형, 3호 건물지), 정방형(정사각형)의 2열(2호 건물지), 정방형의 3열(2호 건물지) 등으로 구분된다. 가구식 기단(架構式 基壇)의 설치와 석재 가공기술로보아 격이 매우 높은 건물지 임을 추측했다.
 
또한 발굴조사 과정에서 자기류, 기와류, 청동합, 청동불상 등의 다수의 유물이 출토됐다. 그중 명문이 확인된 기와에는‘□卯五月法水寺金堂’,‘五月法水寺金堂’,‘龍省□’이 타날(打捺) 됐다. 막새편으로 추정되는 부분에서‘戊午三月十九日’라는 명문이 확인됐다.


1호 건물지에서 나온 청동합 대각부에도‘法水寺十王堂□□□□’라는 음각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이들 글자를 통해 건물지의 개축 연대와 관련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판독 중으로 더 정확한 내용은 추후에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군은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밝혀진 것은 통일신라 대규모 사역 가운데 극히 일부라며, 앞으로도 문화재청과 협의해 지속적인 발굴조사를 통해 법수사지의 새로운 전모를 밝히는 것은 물론, 법수사지 사역의 정비와 보존·보호 방안에 관련한 다양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Posted by 데일리대구경북뉴스
,

 

봉사활동 우수포상금 지역아동센터 재기부

포항제철소 생산기술부 직원들이 포항 동해면 해오름지역아동센터를 방문해 어린이들이 필요한 물품을 전달하고 있다(포항제철소 제공)

▲ 포항제철소 생산기술부 직원들이 포항 동해면 해오름지역아동센터를 방문해 어린이들이 필요한 물품을 전달하고 있다(포항제철소 제공)

포항제철소(소장 김학동) 생산기술부 직원들이 회사에서 받은 포상금을 복지기관에 기부해 사랑의 온도를 높였다.


포항제철소 생산기술부 직원들이 지난 26일 포항 동해면 해오름지역아동센터와 한울지역아동센터를 찾아 봉사활동 후 공연복과 수납장 등 어린이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전달했다.


이날 지원된 물품들은 포항제철소 생산기술부 직원들이 봉사활동 우수부서로 선정돼 포스코 1%나눔재단으로부터 받은 포상금 3백만 원으로 마련됐다.


먼저 해오름지역아동센터를 방문한 직원들은 어린이들의 정서안정과 건전한 신체발달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밸리댄스팀에게 공연복을 전달 한 뒤, 아동센터 내외부의 환경정화 봉사활동을 펼쳤다

.

또한 한울지역아동센터에는 노후시설 리모델링 일손봉사와 환경정화활동을 실시  한 뒤 수납장 등을 지원했다. 또 젊은 엔지니어들은 어린이들의 학습을 돕기 위한 멘토링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포항제철소 생산기술부 직원들이 해오름 지역아동센터 텃밭 일손돕기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포항제철소 제공)

▲ 포항제철소 생산기술부 직원들이 해오름 지역아동센터 텃밭 일손돕기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포항제철소 제공)

 

봉사활동에 동참한 포항제철소 생산기술부 이대호 씨는 “직원들이 봉사활동으로 받은 포상금을 다시 복지시설에 기부한다는 것은 굉장히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상생할 수 있는 활동들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Posted by 데일리대구경북뉴스
,

 

‘예천권씨 용문재사,’ 도지정 문화재자료 지정

 

경북 예천 ‘예천권씨 용문재사’가 독특한 창호 개폐방식의 재사건축물로서 희소가치를 인정받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됐다.

 


예천군은 지난 23일 경상북도로부터 용문면 내지리 소재 ‘예천권씨 용문재사’가 도지정 문화재자료 제633호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예천권씨 용문재사’는 ‘초간일기’와 ‘대동운부군’을 남긴 초간 권문해 선생이 그의 부친인 ‘권지’의 묘를 수호하기 위해 16세기 말 건립한 건물이다. 지금은 초간 권문해를 비롯한 그 후손의 묘를 수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묘를 수호하는 공간적 가치뿐만 아니라 간결하고 치밀하게 구성된 내·외부 공간구성과 흔치않은 창호의 개폐방식 등 건축학적 가치 그리고 현재까지 조상의례와 관련된 독특한 무형문화가 전승되는 민속학적 가치가 우수한 문화재로 평가됐다.


특히 이번 문화재지정에 따라 초간 선생이 거닐던 남악종택~초간종택~금당실마을~초간정~용문재사~용문사를 잇는 8km의 용문권역 문화유적탐방코스가 구축됨으로써 향후 문화관광 콘텐츠로도 많은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예천군은 현재 88건의 지정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사도세자 태실유적을 비롯한 청단놀음, 야옹정 등 13건의 문화재가 현재 지정 및 승격절차가 진행되고 있어 이들 문화재가 지정되는 2016년도에는 전국 23번째, 경북에서 4번째 다량의 문화재를 보유한 문화거점 지역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군 관계자는 “이번 지정을 계기로 우수한 전통문화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지역민에게는 지역문화에 대한 자긍심 고취는 물론 새천년 신 도청 소재지의 정신문화 계승·홍보를 위해 문화유산과 연계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Posted by 데일리대구경북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