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대교 이용 운전자 가급적 경부고속도로 우회 당부

 

 

서해대교 케이블 화재 사고 개요 (한국도로공사 제공)

▲ 서해대교 케이블 화재 사고 개요 (한국도로공사 제공)

한국도로공사는 지난 4일 서해대교 화재발생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에 대해 발표했다.
 
한국도로공사는 지난 3일 오후 6시 20분께 서해대교에서 발생한 화재는 낙뢰(추정)에 의한 사고로, 목포방향 주탑(PY2, 278K) 부근 케이블 화재발생으로 사장교 케이블 3EA 피해(파단1, 손상2)와 소방대원이 사상(순직1, 경상2) 했다고 밝혔다.
        
손상 케이블은 NO72 파단(연장  233m, 직경  280mm 0.6in-91가닥) NO56,57 손상(연장  64m, 직경 180mm 0.6in-37가닥)된 것으로 조사됐다.

 

 

서해대교 케이블 화재 사고 개요

▲ 서해대교 케이블 화재 사고 개요


 

공사 관계자는 “안전성검토위원회 현장조사 결과 절단된 72번 케이블 외 56번, 57번 케이블의 손상도 심각해 서해대교의 안전한 소통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며 ”절단된 72번 케이블을 포함해 절단되진 않았지만 손상된 2개의(56, 57번) 케이블 역시 기능을 상실해 설계기준을 고려할 때 현 상태로는 차량통행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71번 케이블도 피복 손상이 발견돼 추가로 현재 정밀조사 중에 있는 것으로 전했다.


아울러 서해대교의 교통소통은 손상된 3개의 케이블 중 56, 57번 케이블의 해체 및 재설치 완료 후 가능해 질 것이다. 복구 기간은 약 20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회도로 안내도

▲ 우회도로 안내도

 

공사는 최대한 안전하고 빠르게 재설치를 완료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이와 동시에 안전성검토위원회에서는 서해대교 안전에 대해 전반적인 점검과 함께 안전성 강화를 위한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한편 공사 관계자는 “서해대교 통행 재개 시까지 38·39번 국도 등 서해대교 부근 도로의 극심한 혼잡이 예상된다”며 “평소 서해대교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은 가급적 경부고속도로로 우회할 것”을 당부했다.

Posted by 데일리대구경북뉴스
,

 

통일나눔펀드 6백여만원 기탁, 공무원 160여명 동참

 

 

경북 울진군 공무원들이 우리 민족의 염원인 통일 공감대 확산 기여와 사회공헌을 위한나눔문화 선도에 나섰다.

 


울진군은 지난 2일 군청소회의실에서 통일초석 마련을 위한 재원으로 사용될 ‘통일나눔펀드’에 6백여 만원을 기탁했다고 밝혔다.


이번 통일펀드 가입식에는 임광원 군수를 비롯한 부군수, 실과소장 및 읍면장, 6급팀장 등 공무원 160여 명이 민족의 오랜 염원인 남북통일을 앞당기기 위해 자발적으로 기금 모금에 동참한 것으로 파악됐다.


 통일나눔 펀드는 통일과 나눔 재단에서 운영하는 기금으로 남북동질성 회복, 북한 어린이 지원, 이산가족 상봉 지원 등 남북간 교류와 협력지원 등의 사업에 사용된다.  
   
군 관계자는 “우리 민족의 염원인 통일 공감대 확산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사회공헌과 나눔문화를 선도하는데 앞장 설 것”이라고 밝혔다.

Posted by 데일리대구경북뉴스
,

 

철사단 전투력과 위용 점검

 

 

경북 칠곡군 통합방위협의회(의장 백선기 칠곡군수)가 13만 군민들의 안전을 위해 수고하고 있는 50사단을 장병을 격려하기 위한 위문 방문에 나섰다.

 


칠곡군 통합방위협의회는 지난 4일 지역 향토부대인 육군 제50보병사단(사단장 서정천)을 위문 방문 격려했다고 밝혔다.


이날 방문에는 백선기 군수를 비롯한 방위협의회위원, 안보정책자문위원 등이 함께 참석해 민·관·군·경 통합방위에 대한 상호협력과 지역사회 발전에 대한 의지를 다지고, 환영 리셉션 및 50사단 현황보고를 시작으로 부대행사와 병영식, 군악대, 의장행사 시범 등을 통해 강철사단의 전투력과 위용을 점검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백선기 군수는“대구·경북의 철통방위를 위해 땀 흘리는 50보병 사단 장병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며 “육군 제50보병사단은 비상사태 발생 시 주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보호 등 안전 칠곡 구축에 역점을 두고 있는 만큼 13만 군민의 안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위기관리 메뉴얼을 보완·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Posted by 데일리대구경북뉴스
,